위치  홈
  •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하수슬러지 자원화과정 영상을
    보실 수 있습니다.

슬러지자원화 1단계시설

  • 수도권지역에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의 안정적 처리
  • 슬러지를 고화처리하여 복토재로 재활용 자원화
  • 설치개요

  • 사 업 명 : 슬러지자원화1단계시설 설치공사
  • 시설규모 및 공정
    - 함수율 80%인 하수슬러지를 고화제와 일정 비율로 혼합 후
    - 함수율 50% 이하인 고화물 생산,복토재로 사용
  • 위 치 : 수도권 환경‧에너지종합타운내
  • 사 업 비 : 398억원
  • 사업기간 : 2007.5 ~ 2008.12(19개월)
  • 운영현황

    ‘19년 ‘20년 ‘21년 ‘22년 ‘23년 ‘24년
    처리현황
    (톤/년)
    180,136 119,290 76,210 51,444 46,520 42,022

    시설 공정도

    시설공정도

  • 관련부서 : 자원사업처

슬러지자원화 2단계시설

    설치목적

  • 2012년부터 런던협약에 의해 하수슬러지 해양 배출 금지
  • 수도권지역에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의 안정적 처리
  • 슬러지를 열풍 건조하여 발전소 보조연료로 자원화
  • 설치개요

  • 사 업 명 : 슬러지자원화2단계시설 설치공사
  • 시설규모 및 공정
    - 함수율 80%인 하수슬러지를 고온 직접 열풍 로터리 킬른 건조기에서 건조
    - 함수율 10% 이하인 건조물을 생산, 발전소 보조연료로 사용
  • 위 치 : 수도권 환경‧에너지종합타운 내
  • 사 업 비 : 822억원
  • 사업기간 : 2010.2 ~ 2012.1(24개월)
  • 운영현황

    ‘19년 ‘20년 ‘21년 ‘22년 ‘23년(1~9월)
    처리현황
    (톤/년)
    245,685 165,817 151,042 62,402 80,136

    ※ 슬러지자원화 2단계시설 악취방지시설 개선공사로 미운영(`23.9~)

    시설 공정도

    슬러지자원화2단계시설공정도

  • 관련부서 : 자원사업처

슬러지자원화 3단계시설

    설치목적

  • 수도권지역에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의 안정적 처리
  • 슬러지를 건조하여 발전소 보조연료로 자원화
  • 기존고화처리시설의 노후화로 인한 대체시설
  • 설치개요

  • 사 업 명 : 슬러지자원화3단계시설 설치공사
  • 시설규모 및 공정
    - 함수율 80%인 하수슬러지(768톤/일) 2단 건조방식(간접패들건조 + 직접 열풍식 회점 드럼형 건조)으로 건조
    - 함수율 10% 이하인 건조물(170톤/일)을 생산, 화력발전소 보조연료로 사용
  • 위 치 : 수도권 환경‧에너지종합타운 내
  • 사 업 비 : 1,272억원
  • 사업기간 : 2017.10 ~ 2020.9(36개월)
  • 운영현황

    ‘20년 ‘21년 ‘22년 ‘23년 ‘24년
    처리현황
    (톤/년)
    84,085 82,756 49,103 92,410 154,372

    시설 공정도

    슬러지자원화3단계시설공정도

  • 관련부서 : 자원사업처

본 페이지의 내용이나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?

! 만족도 조사결과는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됩니다.